깃허브(Github)는 무엇일까요? 깃(git)은 무엇일까요? 사용법은 무엇인지, 초보자를 위해 가장 처음 회원가입부터 원격저장소 만들기, 깃(git) 설치하기, 토큰 만들기, 최초 세팅 하고 연결하기까지 하나하나 설명드리겠습니다.
[목차]
- 깃허브(Github)란 무엇인가? 깃(git)은 무엇인가?
- 깃허브(Github) - 원격저장소 만들기
- 깃(git) 설치하기
- 깃허브(Github) - 토큰만들기
- 깃허브(Github) - 최초 세팅 및 연결하기
1. 깃허브(Github)란 무엇인가? 깃(git)은 무엇인가?
깃(git)은 무엇일까요? 깃(git)은 버전 컨트롤 시스템입니다. 코드의 형상을 관리할 수 있게 해주는 시스템을 얘기하죠. 그러면 깃허브(Github)는 무엇일까요? 깃(git)을 지원하는 원격 저장소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실제로 Github가 아니더라도 Gitlab 등 다른 git을 지원하는 원격 저장소도 존재합니다.
깃허브(Github) 시작하기
깃허브(Github)를 시작하려면 깃허브에 회원 가입을 해야 합니다.
GitHub: Let’s build from here
GitHub is where over 94 million developers shape the future of software, together. Contribute to the open source community, manage your Git repositories, review code like a pro, track bugs and feat...
github.com
위 사이트에 들어가 오른쪽 위 [Sign up]부터 진행합니다. [Enter your email] 화면이 나오면 깃허브에서 사용할 이메일을 하나 입력 후 [Continue]를 누릅니다. [Create a password] 화면이 나오면 Password를 넣으시고 Continue를 눌러주세요. [Enter a username]이 나오면 내가 사용할 이름을 적고 [Continue]를 누르시면 됩니다.
마지막으로 product updates와 공지를 email로 받을거냐고 물어보는데 n을 하셔도 무방합니다. 인간인지 확인하는 퍼즐이 나오며 문제를 다 푸시면 [Create account] 를 누르시면 입력했던 email 로 보낸 8자리의 숫자코드를 화면에 입력하라고 합니다. 입력하시면 됩니다.
얼마나 많은 팀멤버가 너와 함께 일하냐라고 묻는데 현재 상황에 맞게 솔직히 답을 해주시면 됩니다. 그리고 학생인지 선생인지 묻는데 편하신 대로 진행하시면 됩니다. 관심사를 묻는데 관심 있으신 부분을 선택하시고 [Continue]를 입력해 주세요.
다음은 Github를 사용할 때 제공되는 무료 조건 들입니다.
- 무제한 public/private repositories (원격 저장소)
- 2,000 CI/CD minute/month (public repositories에서 무료)
- 500MB of Packages storage (public repositories 에서 무료)
- 120 core-hours of Codespaces compute
- 15GB 코드 공간
- 커뮤니티 서포트
2. 깃허브(Github) - 원격 저장소 만들기
위와 같이 깃허브에 회원가입을 하신상태면 현재 아무런 원격 저장소(repository)가 없는 상태입니다. [Create repository] 버튼을 클릭해주세요. Owner에는 현재 아이디가 보이실 거고 옆에 Repository name에 원하시는 이름을 넣어주세요. (이 이름이 이후 url로도 사용됩니다.)
Description 은 optional이지만 현재 repository가 어떤 녀석인지 가볍게 알려주는 정도로 작성을 해주시면 됩니다. 아래 Public / Private의 라디오 버튼이 존재하며 Public으로 만드는 경우 나 이외의 모든 사람들이 접근하고 코드를 보고 기여도 하고 받아갈 수도 있게 됩니다. Private으로 만드는 경우는 오직 나 혼자만 접근할 수 있습니다.
아래 체크박스 및 List선택들은 넘어가시고 [Create repository]를 누르시면 준비가 끝납니다. 바로 만드신 원격 저장소로 들어가게 되고 여기서부터 사용 시작입니다. 주로 초반에 사용하시게 될 부분은 [Code] 탭과 [Pull requests] 탭이라고 생각합니다.
만드신 깃허브(Github)의 주소는 https://github.com/[아이디]/[repository 이름]. git입니다.
3. 깃(git) 설치하기
깃허브에 있는 repository에 파일을 올리고 수정하고 지우고 등의 모든 작업을 하기 위해서는 내 PC에도 git을 설치해야 합니다. 아래는 git을 설치하는 방법입니다.
Windows 깃(git) 설치
Git for Windows
Git for Windows focuses on offering a lightweight, native set of tools that bring the full feature set of the Git SCM to Windows while providing appropriate user interfaces for experienced Git users and novices alike. Git BASH Git for Windows provides a BA
gitforwindows.org
[Download]를 클릭하시고 설치 진행하시면 됩니다. 이후 Git Bash를 이용합니다.
Mac OS 깃(git) 설치
터미널을 열고 [brew install git]을 입력하여 깃(git) 설치
우분투(Ubuntu)에 깃(git) 설치
[sudo apt-get install git]
[sudo apt install git] : 깃(git) 설치
[git --version] : 깃(git) version 확인
공통 세팅
아래 명령어를 입력하여 push를 했을 때 올라갈 내 정보를 미리 입력해 둡니다.
git config --global user.name [이름]
git config --global user.mail [메일 주소]
4. 깃허브(Github) 토큰 만들기
깃허브(Github)에 pull이나 push를 수월하게 하기 위해서 깃허브에 접근토큰을 만들어두고 내 PC에 토큰을 등록해 두면 좋습니다. 이 부분을 하나하나 진행해 보겠습니다.
아까 진행하던 깃허브(Github)에 들어가 오른쪽 위 프로필을 누른 뒤 아래서 두 번째 있는 [Settings]를 눌러주세요. 제일아래 Developer settings를 누르신 뒤 [Personal access tokens] - [Tokens(classic)] 을 선택 후 [Generate new token(classic)] 을 눌러주세요.
Note에는 token이 어디에 쓰일지 적어주시고, Expiration 에는 유효기간을 선택하신 뒤 아래 [repo]를 클릭 후 [Generate token] 버튼을 눌러주세요. 클릭 후 토큰 정보가 나오는데 복사하세요. (이 값은 복사를 꼭 해두셔야 합니다. 이후에 나오지를 않습니다.)
깃(Git Credential / Keychain)을 이용하여 안전하게 토큰을 저장해 두세요. 깃배쉬(Git bash)를 여시고 git config --global credential.helper wincred를 하시면 됩니다. (Mac 인경우는 git config --global credential.helper osxkeychain)
다시 컴퓨터로 돌아와서 git config --global user.password [복사한 키값]을 추가해 주세요. 이 세팅이면 다 해결이 되어야 하며 혹시나 안 되는 경우는 아래처럼 추가 작업을 진행해 주세요. 윈도 기준 [Windows 자격 증명]에 들어가시면 git:https://github.com이라고 보이는데 이것을 편집하여 아이디 / 비밀번호(방금 전 복사한 키값)를 추가 설정해 주세요.
설정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git config --list (이 것은 local 설정 상태 확인) 혹은 git config --global --list (이 것은 Global 설정 상태 확인)입니다. username, email, password, credential.helper=wincred 가 잘 설정되어 있는지 확인해 주세요.
5. 깃허브(Github) - 최초 세팅 및 연결하기
이제 깃허브 관련 세팅은 다 끝났습니다. 깃배쉬(Git bash)를 여시고 원하는 위치로 가셔서 git clone을 실행합니다. git clone [내 깃허브 주소]를 하시면 됩니다. <> Code버튼(혹은 아래 처럼 Quick setup으로 보이시면 복사를 바로 누르세요)을 누르시고 Local 밑에 HTTPS에 있는 주소를 복사하시면 됩니다. 주소 형태는 https://github.com/[깃허브유저이름]/[원격저장소이름]. git입니다.
[echo "# readme" >> README.md]를 실행해주세요. 이 후 [git add .] 을 실행 해주세요. 이 후 [git commit -m "first commit"] 을 실행 해주세요. 마지막으로 [git push origin main]을 실행해 주세요. 깃허브(Github)에 내 원격 저장소로 가보시면 방금 저장한 README.md 파일이 추가되어 있는 것을 확인해 보실 수 있습니다.
작성을 하다 보니 내용이 길어지는 관계로 2편에서 이어서 계속 진행하겠습니다. 2편에서는 브랜치에 대한 설명, git flow, git 명령어 들에 대해서 설명하겠습니다.
[함께 읽으면 좋은 글]
댓글